도서 상세정보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제3판-

저자이민홍 정병오

  • 발행일2020-06-10
  • ISBN978-89-994-1015-4 (93330)
  • 정가20,000
  • 페이지수464
  • 사이즈4*6배 변형
  • 제본양장(무광)

도서 소개

 

 

☞ 3판 5쇄 : 2023-02-10

☞ 3판 4쇄 : 2022-03-10

☞ 3판 3쇄 : 2022-01-20

☞ 3판 2쇄 : 2021-03-10

☞ 3판 1쇄 : 2020-06-10

☞ 2판 2쇄 : 2020-02-10

☞ 2판 1쇄 : 2019-02-10

☞ 1판 2쇄 : 2018-01-25

☞ 1판 1쇄 : 2017-01-25

 


 

머리말

 

본 저서의 집필을 기획하게 된 것은 우연하게 예전에 함께 공부했던 선후배의 만남에서 시작했다. 선배는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천가로 계속 일해 왔다. 후배는 서울연구원, 유학 후 박사 취득, 대학교교수 등 연구와 교육을 담당하는 사회복지학계에서 연구자의 길을 걸어왔다. 10년이 지나서 교정에서 다시 만나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학계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하자고 다짐을 했다. 그리고 그 교량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집필로 귀착되었다. 이로 인해 집필을 시작할 때부터 마칠 때까지 서로에게 주저 없이 비판을 할 수 있었으며, 2012년 나눔의 집을 통해 첫 저서로 출간하였다. 하지만 이후 5년 동안 강의를 통해 저서에서 사용되지 않은 이론은 삭제하고 활용 가능성이 높은 이론과 실제 사례를 보완했다. 또한 기존의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문헌이 평가실무 가이드로 활용되기 미흡하다는 실천전문가들의 문제제기에 평가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내용을 추가했다.

사회복지지식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중심에는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사회복지학계가 있다. 사회복지학계가 지식을 생산하는 일을 담당해 왔고,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지식을 소비하는 입장에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사회복지실천현장이 사회복지학계와 상호교류하면서 지식의 생산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사회복지학계와 실천현장이 상호교류하는 관계로 하나의 체계가 되어 사회복지지식을 생산해 내고 다양한 사회적 문제 및 욕구에 개입하기 위해 소비하게 된다. 하지만 끊임없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는 학계나 연구자와의 교류가 미흡하다는 목소리를 제기하고 있으며, 사회복지학계나 연구자 측에서도 실천현장과의 교류가 활발하지 못하는 현 추세에 대해 화석화된 지식의 생산자로 전락되어 간다는 위기의식이 제기되고 있다.

두 주체가 공통적으로 느끼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은 사회복지조사연구의 활용에 대한 시각차로 해석된다. 사회복지학계에서는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이론적 및 경험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조사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반대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는 표적체계의 문제 및 욕구를 완화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찾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 근거가 부족함을 경험한다.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는 실천현장과 학계 간의 교착상태를 완화하고, 이 두 주체 간의 활발한 사회복지지식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연결해 주는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즉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는 사회복지 실천전문가와 학계연구자 간에도 개입 방안 및 결과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제공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적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가 프로그램의 기획 및 설계,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 평가 및 환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과정 및 구성요소가 순환적으로 진행하는 것에 기인한다.

이 저서의 내용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학문적 접근(상편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이론)과 실천적 접근(하편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실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편은 이민홍 교수 그리고 하편은 정병오 이사장이 집필하였다. 학문적 접근에서는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관한 이론·기술·기법 등에 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예비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사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필요한 기초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반면 실천적 접근에서는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실제로 작성할 수 있는 매뉴얼 양식으로 집필하였다. 학문적 접근 및 실천적 접근에서 우선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는 사회문제분석, 욕구조사, 참여자 선정, 목적과 목표설정, 프로그램 개입 전략 및 사업내용, 프로그램 자원 투입계획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 번째 과정으로서 프로그램 실행 단계는 프로그램 실행의 관리, 모니터링, 기록관리 및 정보관리, 프로그램 마케팅, 프로그램 질 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평가 단계는 프로그램 평가 이해 및 방법, 향후 운영계획 설정 및 환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에서는 현재 프로그램 작성 방법 및 절차에 관련해서 대부분의 공공 및 민간자원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프로그램 작성 양식을 제시하였고, 특히 최근 새롭게 바뀐 양식의 변화된 내용도 반영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 및 예비사회복지사가 좋은 프로그램 제안서를 작성할 수 있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샘플을 포함하였다.

현장의 실천 경험과 연구 및 교육을 통해 축적된 내용을 기반으로 이 저서가 작성되었지만, 완성한 후 써 놓은 원고를 보면서 만족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음을 솔직하게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앞으로 본서가 마지막이 아니라 내용이 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독자들의 기탄없는 비판을 받아들여 수정해 나가도록 할 것이다. 이 저서에 대한 독자들의 비판 사항과 내용 기술이 부족하여 추가적 설명이 필요한 사항은 저자소개에 제시된 전자우편을 통해서 소통하고자 한다.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교육자에게 유용한 자료도 저자에게 요청하면 공유할 것이다. 끝으로 (예비) 사회복지사의 실천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는 서적으로 발간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신 양서원 출판사에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2020년 6월

이민홍 · 정병오

 

 

 

 

차례

 

상편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이론

 

PART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이해

 

CHAPTER 01 사회복지 프로그램 이해

제1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의의

1. 책임성(책무성) 시대

2. 사회복지 개입 효과성

3. 증거기반실천(근거중심실천)

4. 경쟁적 예산 배분

5. 사회복지사 전문성

제2절 프로그램 개념

1. 프로그램 정의

2. 프로그램 구성요소

3. 프로그램 유형

제3절 우수 프로그램 특성

1. 인력, 예산, 안정적 재원

2. 정체성과 서비스 철학

3. 연구기반실천

4. 이론적 기반

5. 체계적 프로그램 평가 노력

 

CHAPTER 0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제1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개념과 의의

1. 프로그램 개발 개념

2. 프로그램 개발 의의

3.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영역

제2절 프로그램 개발 과정과 구성

1. 프로그램 개발 의사결정 접근방법 및 모형

2. 프로그램 개발 이론적 모형

3.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구성요소 실증적 접근

4.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통합모형

 

PART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기획과 설계 이해

 

CHAPTER 03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제1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이해

1. 프로그램 기획 개념과 필요성

2. 프로그램 기획과 상황분석(타당성 조사)

3. 프로그램 기획 창의성

제2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아이디어 설정

1. 새로운 아이디어 공급처

2. 프로그램 아이디어 설정 기술

3. 아이디어 정보 탐색 방법 가이드

제3절 프로그램의 필요성

1. 사회문제분석틀

2. 욕구조사

3. 인권관점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CHAPTER 04 사회복지 프로그램 참여자 및 목적

제1절 프로그램 참여자

1. 프로그램 참여자

2. 프로그램 참여자 선정과정

3. 클라이언트집단 선정 영향 요인

제2절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설정

1. 목표설정 이슈

2. 목표설정과 목표 개념

3. 목표설정 과정 및 방법

 

CHAPTER 05 사회복지 프로그램 설계

제1절 개입전략 모색과 내용구성

1. 프로그램 가설설정 및 이론

2. 대안선택모형과 선택기준

3. 개입전략 원천 및 유형

제2절 프로그램 내용 선정 및 조직전략

1. 프로그램 내용 선정원리

2. 프로그램 내용 조직원리와 방법

3. 프로그램 내용 선정 진행절차

4. 프로그램 활동계획 설계

제3절 프로그램 수행인력 구성 및 예산

1. 프로그램 수행인력 구성

2. 예산수립

 

PART 3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행

 

CHAPTER 06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행

제1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행 이해 및 주요과업

제2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행 주요과업

1. 프로그램 모니터링

2. 프로그램 관리

3. 프로그램 기록관리 및 정보관리

4. 프로그램 마케팅

5. 프로그램 서비스 질 관리

 

PART 4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CHAPTER 07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이해

제1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의미

1. 프로그램 평가 개념

2. 프로그램 평가 이유

3. 프로그램 평가 문제점

제2절 프로그램 평가 이론적 접근

1. 프로그램 평가 철학 기반

2. 프로그램 평가 이론적 접근

제3절 프로그램 평가 기준 및 유형

1. 프로그램 평가 기준

2. 프로그램 평가 유형

제4절 프로그램 평가 절차

1. 프로그램 평가 절차

2. 프로그램 평가 윤리적 이슈

 

CHAPTER 08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방법

제1절 프로그램 성과평가

1. 프로그램 성과측정 방법

2. 프로그램 성과평가 연구설계

3. 프로그램 목표 대비 실적 평가

제2절 프로그램 비용분석

1. 비용편익분석

2. 비용효과분석

제3절 프로그램 평가의 새로운 동향 및 과제

1. 새로운 고민과 도전

2. 새로운 평가에 대한 논의

3. 미래를 위한 몇 가지 제언

 

하편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실제

 

PART 5 로직모델

 

CHAPTER 09 로직모델 이해 및 활용

제1절 로직모델 이해

1. 로직모델 개념

2. 로직모델 구성요소

제2절 로직모델 활용

1. 로직모델 사례

2. 로직모델과 평가

3. 로직모델 유용성

 

PART 6 사회복지 프로그램 공모 및 작성 매뉴얼

 

CHAPTER 10 프로그램 공모를 위한 준비

제1절 프로그램 우선순위 결정

제2절 공모대상기관 결정

제3절 프로포절 심사기준

 

CHAPTER 11 프로포절 작성 매뉴얼

제1절 프로포절의 항목 구성

제2절 프로포절 세부 항목별 작성방법

1. 사업 명칭

2. 사업의 필요성

3. 사업 대상

4. 사업 목적 및 목표

5. 사업내용

6. 예산계획

7. 향후 운영계획

제3절 공동모금회 신(新 )유형 프로포절 작성법

1. 사업내용 및 추진 전략

2. 예산 편성

3. 문제 의식(사업 필요성)

4. 목표 및 평가

5. 사업 종료 후 지향점

 

CHAPTER 12 성과측정 매뉴얼

제1절 성과측정을 위한 주요 개념

1. 성과측정 주요 개념

2. 성과측정 과정 개요

제2절 성과측정 단계별 세부내용

1. 성과측정 준비 단계

2. 측정할 성과 선택 단계

3. 성과지표 구체화 단계

4. 성과측정 자료수집 계획 단계

5. 성과측정 자료수집 단계

6. 측정 결과 분석 및 보고 단계

7. 성과측정 결과 이용 단계

 

부록

 

부록 1. 전통적인 사회복지프로그램 프로포절 사례

부록 2. 2022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신청양식

부록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선정사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이민홍 minhong@deu.ac.kr
미국 조지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박사학위(2006)를 받았고, 현재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프로그램개발과 평가와 노인복지를 가르치고 있다. 최근 주요연구는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Oldest Old: A Longitudinal Study(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020), 노인요양시설 문화변화 모델 적용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19), 노년기 삶에 대한 독거효과 분석(보건사회연구, 2018), Older
adults' perceptions of age-friendliness in Busan Metropolitan City(Urban Policy and
Research, 2017), 노인복지론(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등이 있다. 주요경력으로는 미국사회
복지행정학회지 우수논문상(2007), 한국노인복지학회 편집위원장(2015-2016), 한국노년학회
편집위원장(2018-2020),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우수논문 선정(2008, 2015), 교육부 중견연
구자 우수성과 수상(2018),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이사(2016-2017), 서울대학교 SSK 고
령사회연구단 공동연구원(2013-2019),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위원(2013-2016) 등이다.


정병오 jbowel@naver.com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동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원에
서 사회복지학 박사과정을 이수했다. 상명여대, 평택대, 서울여대, 서강대, 동국대, 한국성서대,
중앙대, 단국대 등에서 프로그램개발과평가,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등을 가르쳤다. 최
근 주요 저서로는 ‘알기쉬운사회복지프로그램성과평가매뉴얼’(경기복지재단, 2016)이 있다. 주요
현장경력은 총 23년으로 신정종합사회복지관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실무자로, 반포종합사회
복지관과 서울시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중간관리자로 일했으며, 하안종합사회복지관 관장을 8년
간 역임했고, 현재는 (재)우천복지재단 상임이사로 휴먼임팩트협동조합의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
다.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이사 및 감사(2013-2020), 한국사회복지학회 이사(2016-2018), 한
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부회장(2018),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위원(2019-2020)으로 활동하
고 있다. 지난 15년 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프로포절 작성법, 자원개발, 주민조직화와 관련된
500회 이상의 특강을 실시했고, 최근 관심사는 성과평가, 지역복지실천, 주민조직화, 마을공동체
만들기,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 통일복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