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학년 때 바르터 선생님은 말씀하셨다. “아무거나 그리고 싶은 대로 그려라....”
난 아무것도 그리지 못하고 백지만 책상 위에 달랑 엎어놓고 있었다.
선생님이 교실을 한 바퀴 돌아 내 자리로 왔을 때 나는 심장이 콩콩 뛰었다.
바르터 선생님은 그 큰 손으로 내 머리를 쓰다듬으며 부드러운 목소리로 말씀하셨다.
“들판이 온통 하얀 눈이 내렸구나, 멋진 그림이야.”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이례출판사, 1997, 상담실 밖 상담이야기(박성희 저), 1999에서 재인용>
유아들 곁에서 꿈을 심어 주고, 용기를 주며,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절대적인 역할을 하는 부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역시 일차적으로는 교사이지만 부모가 해야 할 역할 중 일정한 부분을 가정 교육의 연장선에서 감당해야 한다. 그러므로 유아교사는 교사이기 이전에 부모이며, 아이들과 부모들의 상담자이기도 하다.
대학에서 ‘부모교육’을 강의하면서 대부분 예비 교사이자 예비 부모인 대학생들에게 어떻게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깨우칠 것인가를 많이 고민해 왔다. 또한 부모됨의 의미와 실제 생활에서의 부모교육 실천방법을 모색하고 자녀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들을 적절하게 제공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것도 그러했다.
이러한 고민 끝에 이 책은 1부에서 부모의 역할과 양육태도, 부모교육의 중요성과 부모 자녀 간의 관계에서 효율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부모교육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1부의 다양한 부모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부모 자녀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기법을 활용하고 적용해 볼 수 있는 부모교육 집단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3부에서는 부모와 유아교사들이 유아의 행동특성을 이해하고 부적응 행동에 대처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육지침을 마련하였다.
이 책이 부모들과 현장의 교사들, 그리고 예비 교사들과 부모교육에 관심있는 여러 사람들에게 작으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제1부 부모교육의 기초
제1장 현대 사회와 부모
제2장 부모교육의 개념
제3장 발달단계와 부모역할
제4장 가족의 형태와 양육환경
제5장 부모교육 이론
제6장 우리나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과제
제2부 부모교육의 실제
제3부 유아의 부적응 행동 지도를 위한 지침
■ 김 오 남
전남대학교 석사(아동·가족복지)
전남대학교 박사(아동·가족복지)
현,성화대학 아동복지학과 교수
■ 류 윤 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단국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현,순천청암대학 유아교육과 조교수
■ 이 유 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나주대학 유아교육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