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육아와 감수성

저자나카다 모토아키 저 / 권현주,최영신,장경희 옮김

  • 발행일2016-02-19
  • ISBN978-89-994-0516-7(93370)
  • 정가13,000
  • 페이지수124쪽
  • 사이즈국배판

도서 소개

최근 우리사회는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으로 출산율이 크게 저하되고 있으며 아이를 낳아도 1명만 낳아 외둥이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이 큰 만큼, 아이를 출산하게 되면 내 아이만은 잘 키우겠다는 의욕과 욕심이 앞서게 됩니다.
한편 육아 현실은 부모의 의욕과 기대와는 달라서, 아이를 키우고 있는 수많은 부모들이 “이럴 땐 어떡하지?” 하면서 많은 시간 자녀양육에 대한 고민과 사투를 벌이고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고민과 사투는 내 자녀가 바르게 잘 자라기를 바라는 부모의 간절함에 의한 것이라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나카다 모토아키 교수는 아이를 양육하는 것은 매 순간순간이 그 아이의 실존을 바꾸는, 세상을 이해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아이의 존재 전체에 관여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아이의 한 순간순간이 아이의 실존을 만들어가며 그 실존은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이 되며, 그 실존을 통하여 아이의 삶을 바꾸어 간다고 합니다.
또한 아이의 양육은 자녀양육을 하는 부모와 관계자들과 서로 상호 보완하는 호응을 통하여 서로 잠재능력을 향상시키며, 그 순간순간 서로가 느끼는 감수성이 서로의 인간관계를 풍부하게 하며, 또다시 서로의 잠재능력을 향상시켜 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중요한 핵심주제인 자녀양육의 감수성은 “양의성”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점점 풍부하게 발전되어 간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 “양의성”은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된 인간의 모습으로, 부모와 자녀의 “양의성”을 잘 이해할 때 감수성이 풍부한 육아가 가능하며, 자녀양육의 감수성을 풍부하게 키워 가는 것이 아이의 성장을 이끄는 근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장이란 그들의 잠재력인 능력을 현실에 발휘하게 하는 것이며 잠재능력의 발휘는 그 자체로써 완결을 의미하며, 그 아이의 세계를 변화하게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의 행복한 삶을 원하는 부모라면 아이의 장래를 위한 욕심에서 아이가 하고자 하는 많은 소망을 유보하기보다는 매 순간순간 자녀양육에 충실하며 아이가 충만감을 가득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때그때 아이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이나 그 아이의 상태가 온전히 아이의 삶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아이의 실존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이의 잠재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며 아이의 행복한 삶과 우리 양육하는 사람들의 행복한 삶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나카다 모토아키 교수가 이 책에서 말하는 “아이와 실제로 관계하고 있는 부모나 보육교사와 같은 어른들이, 아이와 함께, 보다 [감수성이 풍부한 인간관계]를 추구하는 노력을 멈춰서는 안된다”는 것의 핵심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책과의 만남이 자신의 자녀양육을 돌아보는 기회, 또는 아이의 행복한 삶을 지원하는 보육자로서 아이의 감수성과 실존에 대해 상호 보완하는 호응관계 형성이라는 간점에서 돌아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이 책의 번역을 허락하여 주신 나카다 모토아키 교수와 일본의 소오겐샤의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한국어판 출판에 도움을 주신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과 임직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l 차 례 l

제 1 부 부모와 아이의 풍부한 감수성
제1장. 부모의 풍부한 감수성
1.일반적인 육아정보의 한계 / 2.현실에 있어 육아의 개별성 / 3.육아의 양의성과 감수성 / 4.내 아이에 대한 붐의 욕심과 감수성 / 5.부모의 풍부한 감수성과 아이의 성장

제2장. 아이의 풍부한 감수성
1.부모와의 감정유대가 아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2.자아확립 전과 후의 감정유대의 특징 / 3.반항기(싫어 실어!)의 양의성과 자아확립 / 4.아이의 양의성-아이다움과 인간다움-

제3장. 육아에서의 심리적 유연성
1.훈육에서의 양의성과 일관성 / 2.심리적 유연성과 양의성

제 2 부 아이의 잠재능력을 꽃피우는 육아
제4장. 아이의 잠재능력을 꽃피우는 육아
1.영유아보육 특유의 어려움-기억의 비연속성- / 2.풍부한 감수성에 기반하는 육아의 중요성 / 3.아이와의 상호보완을 통해 완성되는 육아 / 4.유일무이한 관계로서의 부모자녀관계

제5장. 아이에게 맞추어가는 것
1.상호보완을 통한 잠재능력의 개화 / 2.일체화된 관계를 통한 아이의 성장 촉진 / 3.아이의 삶을 바꾸는 잠재능력의 발휘 / 4.육아의 본질은 아이의 존재 전체에 관여하는 것 / 5.아이의 현재에 충실한 육아 / 6.육아의 방법과 내용의 일체성 / 7.아이의 온전한 삶의 모습으로서의 현재 / 8.아이와의 약속의 의미와 감수성

제6장. 아이 본연의 모습
1.주체적인 삶의 영위자로서의 아이 / 2.실존의 관점에서 아이에게 다가가기 / 3.아이가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의 의미-세계와의 능동적인 관계형성-

저자 소개

■ 권 현 주

오사카시립대학교 대학원 인간복지학 석사
오사카시립대학교 대학원 인간복지학 박사
(현) 오카자키여자대학교 아동교육학부 교수

■ 최 영 신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오사카시립대학교 대학원 인간복지학 박사
(현) 중앙승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장 경 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현) 강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