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과학은 ‘알다’라는 라틴어에서 파생된 말이다. 즉 과학은 어떤 것에 대해 ‘알고자 하는 마음’이고, 과학교육은 이를 알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유아과학교육은 유아들에게 궁금한 것을 알도록 해 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교사는 유아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알도록 도와주어야 하는가?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을 담은 책이 바로 이 책이다.
몇 년째 대학 학부과정과 대학원 과정에서 유아과학교육을 강의하다 보니 유아에게 과학을 교육하는 방법을 배우기 전에, 교사로서 과학 및 과학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유아과학교육을 하기 위한 준비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 유아교사들이 직접 해 본 경험들을 책 중간중간에 소개함으로써 보다 현장감 있게 유아과학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책은 크게 4개 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유아교사와 유아과학교육」이라고 하여, 유아과학교육을 본격적으로 다루기 전에 유아교사로서 자신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제2부는 「유아와 유아과학교육」이다. 유아가 과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유아들은 과학을 어떻게 배워나가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제3부는 「유아과학교육의 기초 이해」로 유아과학교육이 무엇이며 최근 동향은 어떠한지, 또한 기초가 되는 이론, 유아과학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교육과정, 그리고 교수학습방법, 유아과학교육의 환경과 평가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제4부 「유아과학교육의 실천」에서는 이 책의 부제이기도 한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찾아주기 위해 시도해 본, 또는 시도해 볼 만한 유아과학교육의 실천 사례들을 소개하였다.
책을 출판한다는 것은 나에게 있어 큰 즐거움이자 두려움이다. 특히 유아과학교육 교재는 지난 10여 년 동안 혼자 자료를 모으고 쓰고 지우기를 반복했던 책이라 더욱 그러하다. 혼자 하던 버거움을 김정미 박사와 안세정 박사가 기꺼이 나누고 함께 해 주어 드디어 끝이 보인다. 의욕이 앞서 시작했지만 마무리할 때가 되면 늘 아쉽고 부족함이 느껴진다. 그러나 일단 마음을 먹은 일이기에 여기서 마무리를 하려고 한다. 부족한 부분은 앞으로 좀 더 보완해 나갈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다짐해 본다.
이 책은 학생들의 참여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강의를 통해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아이디어를 보태고 다듬어준 부산대학교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에게 감사드린다. 특히 자료 제공을 허락해 준 부산대학교 김성은, 김서현, 김현지, 박지윤, 신지수, 장수빈, 장새나, 엄희선, 황승리 학생, 거제대학교 정채원 학생과 김예슬, 배진아 선생님과, 빗물저금통 사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준 세종시 나성유치원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출판을 맡아준 양서원 관계자 분들께도 감사드린다. 그리고 오늘도 유아교육 현장에서 고민하고 실천하고 있는 모든 예비유아교사와 현직 유아교사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끝으로 매 순간순간 세상을 적극적으로 만나고 살아가며 배워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아이들이 진정한 과학자임을 일깨워준 이 땅의 모든 영유아들에게 마음속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보낸다.
2024. 3.
금정산 자락에서
저자를 대표하여 김은주 쓰다
차례
PART 1 유아교사와 유아과학교육
CHAPTER 1 과학 및 과학교육에 대한 이전 경험
1. 과학 및 과학교육에 대한 경험 분석
2. 과학 및 과학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
Chapter 2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준비
1. 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기르기
2.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배우기
참고문헌 _ 54
PART 2 유아와 유아과학교육
Chapter 3 유아의 과학에 대한 인식 및 태도
1. 유아의 과학에 대한 인식
2. 유아의 과학적 태도
3. 유아의 과학자적 특징
Chapter 4 유아의 과학지식 및 과학적 탐구과정
1. 유아의 과학지식
2. 유아의 과학적 탐구과정
참고문헌
PART 3 유아과학교육의 기초 이해
Chapter 5 유아과학교육의 정의 및 최근 동향
1. 유아과학교육의 정의
2. 유아과학교육의 최근 동향
Chapter 6 유아과학교육의 기초 이론
1. 피아제의 인지 구성주의
2. 비고츠키의 사회 구성주의
3. 브루너의 발견학습
4.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5. 네스의 생태철학
Chapter 7 유아과학교육의 목표 및 내용
1. 유아과학교육의 목표
2.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Chapter 8 교육과정과 유아과학교육
1. 0~2세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2. 3~5세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Chapter 9 유아과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1. 통합적 접근
2. 생태적 접근
Chapter 10 유아과학교육의 환경과 평가
1. 유아과학교육의 환경
2. 유아과학교육의 평가
참고문헌
PART 4 자연ㆍ놀이ㆍ아이다움을 찾아주기 위한 유아과학교육의 실천
Chapter 11 자연의 순환 알기
1. 흙, 학교 텃밭 프로젝트
2. 물, 빗물 순환 프로젝트
Chapter 12 일상의 삶 담기
1. 식(食), 친환경 식기
2. 의(衣), 천연세제
3. 주(住), 자연가습기
Chapter 13 지구생명과 연결되기
1. 생명살림, EM 활용 프로젝트
2. 생명사랑, ‘노 임팩트 맨’ 체험
참고문헌
김 은 주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교육부의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사례집 개발 연구, 산림청의 한국형 유아숲교육 모형 개발 연구, 세종시 교육청의 세종형 생태유아교육 실행 방안 연구와 숲·생태유치원 추가 설립 운영 방안 연구 등 다양한 연구에 참여하면서 아이살림ㆍ교육살림ㆍ생명살림의 유아교육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김 정 미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부산대학교, 거제대학교, 동의과학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예비유아교사들을 만나고 있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유아교사 및 부모와 지역사회의 연대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며, 생태적 교육관을 삶으로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안 세 정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부산대학교, 신라대학교, 창신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예비유아교사들을 만나고 있다. 해운대육아종합지원센터 생태기관 전환컨설팅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생태유아교육과 영유아 음악 및 동작, 과학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