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사회복지실천론 -제5판-

저자최옥채

  • 발행일2024-06-10
  • ISBN978-89-994-1470-1 (93330)
  • 정가23,000
  • 페이지수372
  • 사이즈4*6배 변형
  • 제본양장 / 2도

도서 소개

 

머리말

 

사회복지학의 교과목 사회복지실천론은 사회복지실천기술론과 함께 Social Work의 요체라고 생각한다. 민주화가 크게 진전되기 시작한 199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 사회사업학이라고 하여 소셜워크가 명목을 유지했는데, 이제는 그 흔적을 접하는 것이 쉽지 않다.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교과목이 너무도 빈약해서인데,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교과목 개설 형편과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실상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이런 상황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이 불러일으켰다고 하지만 그 전에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가 이렇게 이끌어온 측면도 있다고 본다.

사회복지의 뜻을 새롭게 정의해야 할 정도로 사회복지가 확장되고 혼란한 처지에서 사회복지실천론의 체계를 구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단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의 전통 방법을 넘어 사회복지정책에서 거론되고 있는 나름의 실천 방법들이 그 실상을 드러내고 있다. 치밀한 계획과 충실한 일정 기간의 과정을 밟는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되찾아야 한다. 그래서 사회복지사다운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이 가능하고, 그래야 사회복지학의 존재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사회복지실천론의 내용은 사회복지사가 접하는 클라이언트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 자신에게도 크게 유익함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실천론을 읽어야 하고, 아울러 사회복지실천론이 사회복지사를 읽어야 함을 알고 그 내용을 구축해야 한다. 나아가 사회복지사가 익혀야 할 지식을 문헌과 경험이 함께 뒷받침해야 한다. 말 위에서 얻은 천하를 말 위에서 다스릴 수 없듯, 사회복지실천을 책상머리에서만 가르치거나 익힐 수는 없을 터이다. 사회복지학에서 사회복지실천을 제대로 알아 교육하지 않고, 이를 익혀 적용하지 못하면 사회복지실천의 고유 현장을 찾지 못하거나 기존 현장을 잃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사회복지실천이 대학교 교수의 교과목 강의와 다를 바가 없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고 하겠다. 한 학기 강의를 위해 강의계획서를 만들어 학생들과 강의 내용, 방법, 평가 따위를 합의하는 것이 실천에서와 같다. 교수가 학생에게 군림하지 않는 것이 바로 사회복지사의 자세와 다르지 않다. 여기에 교수로서 지켜야 할 윤리와 추구해야 할 가치가 학기 내내 적용되어야 함은 곧 사회복지실천에서 강조하는 바가 아닌가.

지금의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에 의한 사회복지실천론의 내용이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사회복지사에게 얼마나 유용할까? 이 교과 내용을 현장의 사회복지사가 관심을 지녀 들여다볼지는 의문이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성이 크게 떨어지고, 우리의 현실에 들어맞지 않은 점이 적지 않다고 보아서이다. 교과목지침이 이끌어가는 사회복지실천론의 내용이 재학생들에게 받아들여질지 몰라도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사회복지사들에게는 외면당하고 있지 않을까? 재학생일지라도 앞뒤 내용을 세심히 따져보면 내용 간 아귀가 들어맞지 않음을 간파할 것으로 짐작한다.

이런 처지를 ‘이론과 실천은 다르다.’라고 하며 넘어갈 일은 아니다. 실천학문에서는 이론과 실제가 거리를 두지 않는 이론이 실제를 사후정리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이 들어맞게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교과 내용이 현장과 동떨어져있다는 것을 여러 면에서 생각해 봐야 한다. 기본적으로 내용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었는지부터 살펴봐야 한다. 예컨대 교과목들 간 중복과 누락을 최소화해야 한다. 마치 사회복지 대상자에게 주어지는 서비스가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아야 하는 이치라고 하겠다.

이번에 사회복지실천론 5판을 낼 수 있어 다행이다. 1999년 인간과 복지에서 낸 것을 따지면 6판인 셈인데, 그때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5판은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을 더욱 충실히 따랐다. 여기에 사회복지실천에 시급히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사회복지실천 방법으로 당사자연구를, 사회복지실천론을 익히는 데 필요한 기초기술로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와 기록을 더했다. 아울러 불필요한 지난 자료를 삭제하고, 새로운 것으로 보완하였다. 그럼에도 서운하여 각 장 끝에 ‘한 번 더 생각하기’ 따위를 덧붙였다.

어려운 처지임에도 변함없이 출판을 지원해준 양서원에 깊이 감사드린다.

 

2024년 봄

최 옥 채 씀

 

 

 

 

 

차례

 

PART 01 사회복지실천의 토대

 

CHAPTER 1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이해

1. 사회복지실천 개념

2. 사회복지실천의 목표, 내용, 구성

3. 사회복지실천의 역동, 맥락, 형성원리

4. 사회복지실천의 특성

한 번 더 생각하기 1. 사회복지실천과 일상

 

CHAPTER 2 사회복지실천 윤리

1. 기본적 윤리기준

2.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

3. 사회복지사의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

4. 기관에 대한 윤리기준

5. 사회에 대한 윤리기준

6. 사회복지실천 윤리 함양 방안

한 번 더 생각하기 2. 경의사상

 

CHAPTER 3 사회복지실천 가치

1. 인권

2. 사회정의

3. 옹호

4. 사회복지실천 가치 함양 방안

한 번 더 생각하기 3. 개인공의

 

CHAPTER 4 사회복지사의 직무, 역할, 전문성, 성찰

1.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실천

2.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

3.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실천

4. 사회복지사의 성찰과 실천

한 번 더 생각하기 4.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질적연구

 

CHAPTER 5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관한 이해

1. 사회복지실천 현장

2.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역사

3. 주요 현장

4.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구조와 맥락

5.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예상과 과제

한 번 더 생각하기 5. 사회약자

 

PART 02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방법, 기초기술

 

CHAPTER 6 사회복지실천 관점

1. 생태체계 관점

2. 강점 관점

3. 임파워먼트 관점

4. 사회적경제 관점

5. 영성지향 관점

조금 더 익히기 1. 맞지기

 

CHAPTER 7 사회복지실천 방법(1)

1. 개별실천 방법

2. 집단실천 방법

3. 지역사회실천 방법

조금 더 익히기 2. 3체계실천 모델

 

CHAPTER 8 사회복지실천 방법(2)

1. 통합실천 방법

2. 사례관리 방법

3. 당사자연구 방법

조금 더 익히기 3. 지역사회 통합돌봄

 

CHAPTER 9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초기술

1. 의사소통 기술

2. 인간관계 기술

3. 기록 기술

조금 더 익히기 4. 사례보고서 틀과 작성요령

 

PART 03 사회복지실천 과정

 

CHAPTER 10 초기 단계

1. 목표

2. 사회복지사의 임무

3. 사회복지사의 역할

4. 사회복지사의 주요 기술

5. 특성

엿보기 1. 초기 단계 실제

 

CHAPTER 11 계획 단계

1. 목표

2. 사회복지사의 임무

3. 사회복지사의 주요 역할

4. 사회복지사의 주요 기술

5. 특성

엿보기 2. 계획 단계 실제

 

CHAPTER 12 실행 단계

1. 목표

2. 사회복지사의 임무

3. 사회복지사의 주요 역할

4. 사회복지사의 주요 기술

5. 특성

엿보기 3. 실행 단계 실제

 

CHAPTER 13 종결, 평가, 보고 단계

1. 종결 단계

2. 평가 단계

3. 보고 단계

엿보기 4. 종결, 평가, 보고 단계 실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최옥채

전남 신안 출생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학사와 석사 과정 졸업
퀸슬랜드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사회계획디플로마 과정 졸업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사회사업학과 박사 과정 졸업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역임
도시샤대학 사회복지학과 객원연구원 역임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역임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최근 저술
한국 사회복지 사회사 1-3(양서원, 2022)
서인근 평전(대한기독교서회, 2024)

최근 논문
사회복지실천 가치로서 성경의 공의에 관한 탐색(한국사회복지학 71(2), 2019)
1980-2010년대 원주시 사회복지 전개에 비친 송정부 활동의 함의(한국지역사회복지학 78, 2021)
한국전쟁 체험담 집성에 비친 6・25전쟁 시기 주민의 삶에 관한 탐구(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7(2),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