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사회복지행정은 정책결정 단계에서 설계된 정책이 현장에서 실천되어 시민들에게 좋은 서비스로 전달되는 데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논의한다. 이 때문에 사회복지행정은 학생들의 정책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좋은 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이 사회복지사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에 왜 필수적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어떠한 특성의 서비스 전달체계가 효과적인 것인지, 또 어떠한 특성의 서비스 전달체계가 무능과 부패의 발현인지를 분별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별과 식별은 다름 아닌 지속적인 서비스 전달체계의 수정과 발전을 위해서이다. 한국 사회복지가 확대된 지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따라서 사회복지행정은 완결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정 발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을 집필하면서 가장 신경을 쓴 것은 무엇보다 먼저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는 점이었고, 다른 하나는 지식이 사회복지행정의 실제와 연결되어 그 의미를 구체적이고 경험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이를 위해 노력을 기울였으나 이는 물론 필자의 생각이고 책을 읽는 학생들이 평가해줄 것이다.
꽤 오랜 기간 대학에서 사회복지를 학생들에게 가르쳐오면서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쉽고 사회복지 실제에 다가가는 데 도움이 되는 교재를 집필하고 싶은 소망이 늘 있었다. 미루고 미루다가 이제야 사회복지행정론이라는 강의 교재를 내놓게 되었다. 아무쪼록 이 책이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한국 사회사회복지행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도와주신 양서원 출판사 관계자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5년 8월
김소정
차례
제1장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필요성
2. 사회복지행정의 특성
3. 사회복지행정의 실천원칙과 범위
제2장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제3장 사회서비스 공급조직의 유형과 실제
1. 공공조직
2. 민간 비영리조직
3. 사회・경제적 조직
4. 민간 영리조직
5. 사회서비스 공급조직의 실제와 공공성
제4장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과 원칙
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조와 현황
3.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방안: 서비스 통합
제5장 조직이론
1. 고전이론
2. 신고전이론
3. 개방체계이론
4. 현대 조직이론
5. 조직이론의 의의
제6장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와 환경
1. 조직구조
2. 사회복지조직의 환경
제7장 리더십과 조직문화
1. 리더십 이론
2.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
3. 조직문화
제8장 인적자원관리
1. 인적자원관리
2. 능력개발
3. 슈퍼비전
4.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인적자원관리
제9장 재정관리
1.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재정관리의 의미
2.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시시설 재무 회계규칙
제10장 정보관리시스템
1. 정보관리시스템
2. 사회복지조직 정보관리시스템의 실제
3. 사회복지조직 정보관리의 과제
제11장 기획과 의사 결정
1. 기획
2. 의사 결정
3.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기획과 의사 결정
제12장 프로그램 개발과 관리
1. 프로그램 기획이론: 논리모델
2. 프로그램 수행 과정 기획
3.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논리모델의 활용
제13장 사회복지마케팅과 홍보
1. 마케팅
2. 마케팅 믹스와 마케팅 과정
3. 마케팅 기법
4. 사회복지조직의 홍보
5. 사회복지기관의 마케팅과 홍보의 적용
제14장 사회복지조직의 변화와 혁신
1.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
2. 사회복지시설평가
3. 사회복지행정의 변화와 혁신
참고문헌
찾아보기
김소정
학력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 서울대학교 문학 석사
- 서강대학교 문학사
연구분야
- 사회복지행정
- 사회복지실천
- 여성・가족복지
경력
-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
- 미국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방문교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이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편집위원
- 한국복지행정학회 이사 등